[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계열 신약 개발 전문기업인 디앤디파마텍은 최근 열린 미국간학회(AASLD) 연례 학술대회인 ‘The Liver Meeting 2025’에서 미국 임상2상 중인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 후보물질인 ‘DD01(개발코드명)’의 임상2상 1차 평가지표 및 12/24주 투약과 관련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DD01은 디앤디파마텍이 자체 개발한 GLP-1 및 글루카곤 수용체를 동시에 타깃하는 ‘장기 지속형’ 이중작용제로, 현재 미국에서 대사이상 관련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종근당이 미국 주요 학회 3곳에서 항암·대사질환 파이프라인의 핵심 비임상 데이터를 공개하며, 글로벌 혁신신약 기업으로의 도약 의지를 드러냈다. ‘World ADC 2025’, ‘2025 미국비만학회(2025 Obesity Week)’, ‘2025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5)’로 이어진 이번 행보는 항체약물접합체(ADC)·GLP-1 경구제·면역항암제까지 종근당의 신약 포트폴리오가 동시에 성숙 단계로 진입했음을 보여준다.비임상 데이터가 글로벌 학회에서 검증된 만큼, 앞으로 임상단계 확장과 기술이전(L/O
[베를린=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키트루다(Keytruda, 성분 펨브롤리주맙)’의 혁신은 끝나지 않았습니다.”마조리 그린(Marjorie Green) MSD(미국 머크) 글로벌 항암 임상 개발 부문 수석부사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키트루다의 미래’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MSD는 이날 ESMO의 모든 세션이 마무리된 이후 ‘MSD’s Science-led Approach to Oncology Reserch & Development(종양학 연구 및 개발에 대한 MSD의
[베를린=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내년 설립 10주년을 맞아 전사적으로 목표로 ‘기술수출’을 달성하겠습니다.”김흥태 이뮨온시아 대표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와 만나 회사의 향후 전략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이뮨온시아는 이번 ESMO에서 자사가 개발 중인 항체신약 후보물질인 ‘IMC-002(개발코드명, anti-CD47 mAb)’와 ‘댄버스토투그(개발코드명 IMC-001, anti–PD-L1 mAb)’ 등 주요 파이프라인의 임상 결과 2건을 포스터 발표로 공개했다.김
[베를린=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면역치료가 불가능해 세포독성항암제 외에는 선택지가 없었던 삼중음성유방암(TNBC)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체 생존기간(OS)을 2년 가까이 증가시킨 치료제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정경해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다트로웨이(Datroway, 성분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 TROPION-Breast02 연구는 환자에게 실제로 의미 있는 혜택을 준 ‘프랙티스 체인징(practice-ch
[베를린=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BTN1A1을 타깃하는 면역억제제인 ‘넬마스토바트(Nelmastobart)’는 ‘독성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차별점입니다. 어떤 병용에서도 추가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유승한 에스티큐브 연구총괄(CSO)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와 만나 이같이 밝혔다. 이번 ESMO에서 에스티큐브는 개발 중인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BTN1A1 억제제인 넬마스토바트에 관한 2건의 연구 초록을 발표했다. BTN1A1 표적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암젠(Amgen)의 FGFR2b 표적 항체신약 후보물질인 ‘베마리투주맙(Bemarituzumab)’ 병용요법이 FGFR2b 과발현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3상(FORTITUDE-101)에서 전체 생존기간(OS)을 유의하게 개선한 결과가 공개됐다.해당 연구 결과는 FGFR2b 표적 위암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향후 PD-L1과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HER2), 클라우딘(Claudin)18.2 등 다른 표적요법과의 병용 전략을 모색하는 근거로 활용될 전망이다. 다만 1차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은 자사의 방광암 치료제인 ‘인렉조(INLEXZO, 방광 내 젬시타빈 약물 전달 시스템)’가 임상2b상(SunRISe-4)에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인 ‘세트레리맙(cetrelimab)’과의 병용요법으로 근육 침습성 방광암(MIBC)을 적응증으로 38%의 병리학적 완전관해(pCR)율 달성했다고 최근 밝혔다.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의 핵심 구두 발표 세션(Late-breaking oral sess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MSD(미국 머크)가 자사의 항PD-1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Keytruda, 성분 펨브롤리주맙)’의 장기 추적 결과를 공개하며,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에서 최대 10년까지 확인된 장기 생존 혜택을 입증했다. 이번 분석은 수술 가능 초기 단계부터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단계까지 전 범위를 아우르며, 키트루다가 ‘비소세포폐암의 장기 생존 치료제’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MSD는 최근 열린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다수의 키트루다 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하며
[베를린=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인공지능(AI) 병리 분석이 환자의 생존율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실제 임상 데이터로 제시했습니다.”임유주 루닛 온콜로지그룹 메디컬디렉터(혈액종양내과 전문의)는 최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진행한 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올해 ESMO에서 루닛은 AI 바이오마커 플랫폼인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한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 예측 연구’ 3건을 공개했다. 1건의 구두 발표 세션과 2건의 포스터 발표 세션이며, 루닛은 이번 연
[더바이오 강조아 기자] 다국적 제약사 에자이(Eisai)와 MSD(미국 머크)는 자궁내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렌비마(Lenvima, 성분 렌바티닙)+키트루다(Keytruda, 성분 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이 5년 추적 결과에서 화학요법 대비 2배 이상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번 결과가 ‘면역항암제와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병용요법의 장기적 생존 이점을 입증한 가장 장기 데이터라고 설명했다.이번 결과는 지난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공개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Pfizer)와 아스텔라스(Astellas)는 안드로겐 수용체(AR) 억제제인 ‘엑스탄디(Xtandi, 성분 엔잘루타마이드)’가 고위험 생화학적 재발(high-risk biochemical recurrence, hrBCR)을 동반한 비전이성 호르몬 감수성 전립선암(nmHSPC) 환자 대상 임상3상(EMBARK) 최종 분석에서 사망 위험을 40.3% 낮췄다고 밝혔다. 기존 표준요법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조기 재발 전립선암 환자에서도 생존 연장 가능성을 확인했다.이번 결과는 지난 17일부터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Pfizer)의 BRAF 저해제인 ‘비라토비(Braftovi, 성분 엔코라페닙)’와 MEK 저해제인 ‘멕토비(Mektovi, 성분 비니메티닙)’ 병용요법이 BRAF V600E 변이를 가진 전이성 비소세포폐암(mNSCLC)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2상(PHAROS)에서 장기 생존 혜택을 입증했다. 약 4년 간의 추적 관찰 결과,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군에서 전체 생존기간(OS) 중앙값이 47.6개월에 달해, 해당 변이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표적요법 중 가장 긴 생존기간을 기록했다. 이번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로슈(Roche)의 면역항암제인 ‘티쎈트릭(Tecentriq, 성분 아테졸리주맙)’이 근침윤성 방광암(MIBC)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임상3상(IMvigor011)에서 수술 후 질병 진행과 사망 위험을 각각 36%, 41% 낮추며 유의한 생존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수술 후 잔존 종양 DNA(ctDNA) 검출 여부에 따라 보조요법 필요성을 구분한 첫 임상3상이다. 면역항암제 치료의 정밀진단 기반 맞춤 치료 가능성을 제시해 기대를 모았다.이번 결과는 20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와 미국 시스트이뮨(SystImmune)이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이중특이성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인 ‘이자브렌(Iza-bren, 성분 이잘론타맙 브렌지테칸, 개발코드명 BL-B01D1)’이 글로벌 임상1상(LUNG-101)에서 유의미한 항암 활성을 보였다.이번 결과는 글로벌 임상에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및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3(HER3)을 이중 표적으로 한 ADC 후보물질의 항암 활성을 확인한 초기 데이터로, 해당 기전의 임상적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은 ‘리브리반트(Rybrevant, 성분 아미반타맙)’ 피하주사(SC)가 재발성 또는 전이성 두경부 편평세포암종(HNSCC)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1b·2상(OrigAMI-4)에서 45%의 객관적 반응률(ORR)을 달성했다고 최근 밝혔다.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공개됐다(초록 번호 #1327MO). 리브리반트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과 ‘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MET)’
[베를린=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HER2)를 타깃으로 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가 조기 유방암 치료 시장에서 성과를 내면서 내성 환자군을 겨냥한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리가켐바이오)의 약물이 충분한 경쟁력을 지녔다는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이동건 리가켐바이오 책임은 20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리가켐바이오는 ESMO 2025에서 전 세계 ADC 열풍을 일으킨 ‘엔허투’와 ‘파드셉’에 대항하는 자사의 후보물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로슈(Roche)가 개발하고 있는 경구용(먹는)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SERD) 후보물질인 ‘기레데스트란트(Giredestrant)’ 병용요법이 진행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3상에서 유의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로슈는 이번 연구 결과가 주사 치료 부담을 덜고, 내성 극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옵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로슈는 지난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임상3상(evERA) 연구 결과를 발표하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온콜로지(Prestige Biopharma Oncology)’를 주제로 췌장암 치료제 후보물질의 개발 성과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회사는 ‘췌장암 치료의 새로운 지평: PAUF 억제(PAUF Inhibition: New Horizons in Pancreatic Cancer)’를 주제로 Meet the Investigator Session을 열고, PAUF 억제의 임상적 의미와 자사의 항PAUF 단일클론항체인 ‘울레니스타맙(Ul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박셀바이오는 지난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PD-L1/EphA2 이중표적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 후보물질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박셀바이오 연구진은 해당 치료제 후보물질을 간암(Hep3B), 난소암(OVCAR), 위암(SNU638) 동물모델에 적용한 결과, 고용량 투여 시 체중 변화 없는 100% 생존율, 저용량 투여 시에도 부작용 없는 탁월한 종양 억제 효과 유지를 확인했다.박셀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