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바이오 진유정 기자] 샤페론은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글로벌 피부질환 신약 개발 콘퍼런스인 ‘제9회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 학회(DDDS)’에서 자사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후보물질인 ‘누겔(NuGel)’의 글로벌 임상2상 파트1(Part 1) 데이터와 여드름, 주사, 당뇨병성 족부궤양 등에 대한 염증복합체 억제 신약 후보물질의 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DDDS는 애브비(AbbVie), 암젠(Amgen), 일라이릴리(Eli Lilly), 사노피(Sanofi), 노바티스(Novartis), 화
[더바이오 진유정 기자] 인공지능(AI) 신약 개발기업인 갤럭스는 자사의 플랫폼인 ‘갤럭스디자인(GaluxDesign)’을 활용해 타깃당 50개 설계만으로 약물 수준의 결합력을 갖춘 항체 후보를 확보하는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갤럭스는 이번 연구에 대해 항체가 우연히 발견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필요한 기능을 처음부터 설계해 단기간에 확보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라고 강조했다.전통적인 항체 발굴은 동물 면역반응이나 방대한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처럼 실험적인 방법에 의존해 원하는 항체가 나올지조차 예측하기
[더바이오 진유정 기자] 노화 및 대사질환 인공지능(AI) 기업인 프로메디우스는 지난 9월 지멘스헬시니어스차이나(Siemens Healthineers China)와 AI 연동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계약으로 프로메디우스의 흉부 엑스레이(X-ray) 기반 골다공증 선별 AI 소프트웨어인 ‘오스테오 시그널(Osteo Signal)’은 ‘AI-Rad Companion Research Frontier’ 및 ‘Syngo.via Frontier Research Platform’을 포함한 지멘스헬시니어스의 연구 플랫폼에 연동된다.
◇승진▷상무 △김지호 △설상헌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은 국내에서 ‘베리펄스(Varipulse)’ 펄스장(PFA, Pulsed Field Ablation) 절제술 100례를 가장 먼저 달성해 기념식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심장혈관병원이 지난해 12월 국내에서 ‘펄스장 절제술’을 처음 시행하고, ‘국제 교육센터’로 지정된 데 이어 1년이 안 돼 얻은 성과다.펄스장 절제술은 심방세동을 전기로 잡는 최신 치료법이다. 고에너지 전기 펄스로 심장에 미세한 구멍을 만들어 주변 조직은 보존하면서 부정맥을 일으키는 심근세포만 사멸한다. 전체 시술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신풍제약은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인 ‘아보시알정(0.5/5㎎)’의 발매일을 12월 1일로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아보시알정은 올해 1월 국내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시장에 새롭게 품목허가를 받았던 ‘두타스테리드+타다라필’ 성분의 복합 개량신약으로, 세계 최초로 두 성분을 하나의 제형으로 구현한 제품이다.두타스테리드는 전립선 비대의 주요 원인인 호르몬 생성을 억제해 전립선 크기를 줄이고, 타다라필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으로 인한 하부요로증상(LUTS)을 개선한다. 두 성분의 이중 효과를 통해 전립선 비대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제이엘케이는 딥러닝 기반의 ‘약한 지도학습(Weakly Supervised Learning)’ 방식을 적용해 위 선암종 조직의 분화도를 자동 분석하는 기술에 대한 국내 특허(출원번호 10-2022-0113709)를 확보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특허의 핵심 가치는 의료 인공지능(AI) 개발 과정에서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학습용 빅데이터 구축 문제를 해결하는 약한 지도학습 기술을 확보한 데 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전통적인 의료 AI 개발은 수천~수만장에 이르는 영상 데이터를 ‘사람이 직접 픽셀 단위로 주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미국 상원 및 하원에서 각각 ‘국가 바이오제약 제조 우수 센터(National Biopharmaceutical Manufacturing Center of Excellence)’ 설립 법안이 발의됐다.26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이번 법안 발의는 올 상반기 바이오기술안보위원회(NSCEB)가 발표한 국가 안보 및 생명공학 생태계 강화 방안의 후속 입법 조치다. 국가 바이오제약 제조 우수 센터를 설립하는 내용의 이번 법안은 상원과 하원에서 공화당 및 민주당 의원 6명이 지난 18일(현지시간)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HLB그룹은 첫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젝트인 ‘에이치엘비 뉴웨이브(HLB NEW WAVE)’를 통해 발굴한 유망 기업들의 기술과 사업 모델을 소개하는 ‘2025 제1회 피치데이(2025 1st Pitch Day)’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25일 서울 반포 한강변 복합문화공간인 ‘더리버’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HLB그룹의 오픈 이노베이션 성과와 전략을 공유하는 동시에, 기존 협력 기업들의 기술과 협력 사례 및 새롭게 선정된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소개하는 등 상호 이해를 넓히고 실질적인 기술 교류를 이끄는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품질 경쟁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규제기관 제조 승인’ 400건을 달성했다고 26일 밝혔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11월 기준 미국 식품의약국(FDA) 49건, 유럽의약품청(EMA) 46건을 포함해 전 세계 다수의 규제기관으로부터 총 400건의 제조 승인을 확보했다.이는 지난해 10월 300건 달성 이후 불과 1년 만에 100건을 추가로 획득한 성과로, 생산능력 확장과 생산 제품 증가에 따라 제조 승인 트랙레코드를 빠르게 축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규제기관 실사 통과율 또한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램시마(성분 인플릭시맙)’의 피하주사(SC) 제형인 ‘짐펜트라(ZYMFENTRA, 램시마SC 미국 브랜드명)’의 글로벌 임상3상 사후 분석 결과가 저명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이번에 발표한 연구 결과는 ‘크론병(Crohn’s Disease)’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던 임상(LIBERTY-CD)의 사후 분석 결과로, SCI 저널인 ‘임상 위장병학 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024년 영향력 지수 12.2)’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혁신신약 개발기업인 큐리언트는 Axl/Mer/CSF1R 삼중저해제 후보물질인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개발코드명 Q702)’의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에 대한 임상1b상 시험계획이 스페인 의약품 및 의료기기국(AEMPS)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26일 밝혔다.이번 승인은 큐리언트가 지난 7월 임상시험신청서(CTA)를 제출한 이후 획득한 첫 번째 유럽연합(EU) 국가 임상시험계획 승인이다. 큐리언트는 ‘비혈연’ 조혈모세포 공여자 등록 시스템이 발달해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환자 발생률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일동제약의 연구개발(R&D) 자회사인 유노비아가 글로벌 빅파마도 풀어내지 못한 경구용(먹는) 저분자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비만약의 해결점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 경구용 저분자 GLP-1 후보물질의 단점으로 꼽혔던 ‘간독성’ 문제에서 유노비아의 ‘ID110521156’은 10배 이상 여유 있는 안전성 지표를 확보하며 차세대 주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박준태 유노비아 R&D본부장(상무)은 25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센터에서 ‘비만 치료제 시대 글로벌 경쟁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대웅제약이 약물전달기술(DDS) 플랫폼을 고도화하며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회사는 2030년 3조원 매출 달성을 위한 성장 모멘텀으로 ‘비만·대사’ 분야를 육성 중으로, 오는 2029년까지 개량신약으로 비만 치료제를 개발해 약 700억원의 매출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에는 경구제, 복합신약, 신규 타깃 바이오 신약 개발로 1조원 이상 매출을 내겠다는 계획이다.김관영 대웅제약 제제기술센터장은 25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센터에서 열린 ‘제약바이오 산업 혁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미국 바이오기업 리제네론파마슈티컬스(Regeneron Pharmaceuticals, 이하 리제네론)는 25일(현지시간) 사노피(Sanofi)와 함께 개발하고 있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듀피젠트(Dupixent, 성분 두필루맙)’가 유럽연합(EU)에서 만성 자발 두드러기(CSU) 치료제로 승인받았다고 밝혔다.이번 승인은 CSU 치료 분야에서 10년 만에 나온 첫 번째 표적치료제로, 항히스타민제로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 12세 이상의 중등도~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EU에서는 약 27만명의 성인 및 청소년이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산하 약품심사평가센터(CDE)가 이노벤트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 이하 이노벤트)의 글루카곤(GCG)·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이중수용체 작용제인 ‘마즈두타이드(mazdutide) 9㎎’ 신규 용량 허가 심사를 개시했다.이는 최근 임상3상(GLORY-2)에서 60주간 평균 18.55%의 체중 감소와 유의한 대사 지표 개선이 확인된 데 따른 조치다. 특히 비(非)당뇨병 고도비만(severely obesity) 환자에서도 최대 20% 감량이 관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 이하 노보)가 개발 중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아밀린 수용체 작용제(RA) 후보물질인 ‘아미크레틴(amycretin)’이 제2형 당뇨병(T2D) 임상2상에서 최대 14.5% 체중 감소를 보였으며, 최대 89%가 당화혈색소(HbA1c) 목표치를 달성했다. 주 1회 피하주사뿐만 아니라, 경구(먹는) 제형에서도 유의한 혈당·체중 개선이 관찰되며 차세대 인크레틴 치료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다.아미크레틴은 주 1회 피하주사 및 1일 1회 경구 제형으로
[더바이오 강조아 기자] 다국적 제약사 MSD(미국 머크)가 오는 12월 6일부터 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미국혈액학회(ASH 2025)에서 20편 이상의 혈액암 치료제 연구 데이터를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특히 CD19×CD3 이중특이 T세포 인게이저(TCE) 후보물질인 ‘MK-1045(개발코드명, 옛 CN201)’와 LSD1 억제 진성적혈구증가증(PV) 후보물질인 ‘보메뎀스타트(개발코드명 MK-3543)’의 첫 임상 발표가 예고돼 혈액암 파이프라인 확장 전략에도 관심이 쏠린다.MK-1045는 악성 B세포를 표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표적 단백질 분해(TPD) 기반 신약 개발기업인 핀테라퓨틱스는 이달 초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025 월드ADC서밋(World ADC Summit)’에 참가해, 자사의 신규 ‘E3 리가아제(E3 ligase)’ 기반 플랫폼인 ‘PinMARS(Ligase 2 플랫폼)’을 활용한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 분야의 글로벌 협력 기회를 모색했다고 26일 밝혔다.핀테라퓨틱스는 이번 행사에서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 및 기술 기업과 미팅을 진행하며, ‘Ligase 2’ 기반의 TPD 기술을 DAC 플랫폼에 접목하는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바이젠셀은 NK/T세포림프종 치료제 후보물질인 ‘VT-EBV-N(개발코드명)’의 임상2상 투약 완료 후 2년 간의 경과 관찰을 마치고,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부터 해당 임상에 대한 톱라인(Top-line) 데이터를 수령했다고 25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톱라인 분석에서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모두 입증함으로써 조건부 품목허가 신청 및 상업화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바이젠셀에 따르면, VT-EBV-N 임상2상은 서울성모병원을 포함한 전국 13개 의료기관에서 무작위 배정·이중 맹검 방식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