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태 유노비아 상무 25일 ‘제약바이오 산업 혁신 포럼’서 주제 발표
- “ID110521156, 글로벌 먹는 저분자 GLP-1 제제 경쟁서 차별성 입증”

박준태 유노비아 R&D본부장(상무)이 25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센터에서 ‘비만 치료제 시대 글로벌 경쟁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열린 ‘제약바이오 산업 혁신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 : 지용준 기자)
박준태 유노비아 R&D본부장(상무)이 25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센터에서 ‘비만 치료제 시대 글로벌 경쟁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열린 ‘제약바이오 산업 혁신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 : 지용준 기자)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일동제약의 연구개발(R&D) 자회사인 유노비아가 글로벌 빅파마도 풀어내지 못한 경구용(먹는) 저분자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비만약의 해결점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 경구용 저분자 GLP-1 후보물질의 단점으로 꼽혔던 ‘간독성’ 문제에서 유노비아의 ‘ID110521156’은 10배 이상 여유 있는 안전성 지표를 확보하며 차세대 주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준태 유노비아 R&D본부장(상무)은 25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센터에서 ‘비만 치료제 시대 글로벌 경쟁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열린 ‘제약바이오 산업 혁신 포럼’에서 ‘경구용 저분자 GLP-1 작용제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박준태 상무는 ID110521156의 개발 과정과 전략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발표하면서 “ID110521156은 선행 물질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설계되면서 다양한 이점이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구용 저분자 GLP-1 약물 개발 경쟁이 본격화한 시점은 2018년 일라이릴리의 ‘오포글리프론’, 2019년 화이자의 ‘다누글리프론’ 특허 공개가 잇달아 나오면서다. 일동제약이 ID110521156 개발에 착수한 것도 이 시기다.

경구용 저분자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비만 약 경쟁 구도 (사진 : 지용준 기자)
경구용 저분자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비만 약 경쟁 구도 (사진 : 지용준 기자)

하지만 일라이릴리의 오포글리프론은 높은 합성 난이도 탓에 생산 비용이 높았으며, 화이자의 다누글리프론은 낮은 생체이용률과 간독성 리스크가 높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유노비아는 ID110521156의 개발 전략에서 글로벌 선행 약물들의 구조적인 약점을 분석해 계열 내 최고(Best-in-Class)를 목표로 차별화된 분자 설계 전략을 최종 선택했다.

박 상무는 “GLP-1 수용체의 핵심 결합 부위인 ‘W33’과 ‘Arg380’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약물 디자인을 최적화해 경구용 저분자 GLP-1 제제의 취약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비임상 효능 평가 과정에서 ID110521156의 차별성도 확보했다. ID110521156은 비임상 단계에서 생체이용률이 4~5% 수준에 머물렀던 다누글리프론과 달리 54%까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간의 주요 약물 대사 시스템인 CYP 효소와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박 상무는 “ID110521156의 경우 여러 약물을 병용하는 만성질환 환자에게 약물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 DDI) 위험이 극히 낮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ID110521156의 임상1상 결과는 이러한 설계 전략의 성공을 입증했다. 특히 안전성 영역에서 이점이 가장 두드러지게 관찰됐다. 화이자가 결국 다누글리프론의 임상 중단을 결정하게 된 간독성 문제와 달리, ID110521156은 간 효소 상승 사례가 ‘0건’으로 나타났다. 박 상무는 “10배 이상의 안전성 마진(safety margin)을 확보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상무에 따르면, 비만 영역에서 ID110521156의 효능은 최고 용량 기준 9.9%의 체중 감소율를 기록했으며, 참여자의 80%는 5% 이상의 체중 감량 비율을 보였다. 허리둘레는 약 5cm 감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약효 발현 기준 농도가 약 18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1일 1회’ 투여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박 상무는 효능과 안전성, 원가 경쟁력에서의 우위를 통해 ID110521156이 경구용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바라봤다. 그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RX 정책’을 고려하면 펩타이드뿐만 아니라, 경구약까지 모든 약의 가격 인하가 예상되고 있다”며 “효능과 복약순응도, 편리성, 안전성 등을 고려했을 때 ID110521156의 시장 매력도는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ID110521156은 비만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사 질환에서 병용 약물로 확장 잠재력이 있다”며 “현재 후기 임상을 위해 해외 제약사들과 긴밀하게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더바이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